돈 되는 정보

2023년 부모급여, 양육수당, 영아수당, 아동수당 신청은 언제까지? 신청 방법은? (총정리)

루아 2023. 2. 3. 15:34
728x90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출산율 최저 수준이며 2022년부터는 인구 감소가 시작될 전망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 정부에서는 지난 12월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발표했으며 2025년까지

 총 196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어떻게 신청을 할 수 있고, 언제까지인지 잘 모르겠다면

이 글만 보셔도 금방 신청하시고 진행하실 수 있을겁니다. 



 

 

 

2023년 부모급여, 양육수당, 영아수당, 아동수당 신청은 언제까지? 신청 방법은?
2023년 부모급여, 양육수당, 영아수당, 아동수당 신청은 언제까지? 신청 방법은?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중입니다. 2021년 3월부터는 소득수준 관계없이 

만 0세~1세 영아에게는 매월 40만원 씩 지원됩니다. 또한 2025년 부터는 육아휴직급여도 인상될 예정입닏나.

그리고 2022년 10월 부터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가 있는 부모라면 누구나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7세 

미만에게만 지급되었지만 범위가 확대된 것입니다. 따라서 내년 출생아부터는 모두 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고보니 2023년부터 도입되는 새로운 육아지원정책도 눈에 띕니다. 바로 아동수당 지급 대상 연령 및 금액 확대 

그리고 영아수당 신설. 그래서 해당 정책들은 어떻게 바뀌며 언제부터 시행되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1) 아동수당 지급 대상 연령 변경!?

 

먼저 아동수당 지급 대상 연령이 기존 만 7세 미만에서 만 8세 미만으로 확대된다. 더불어 월 10만 원씩 지급되던 수당액도 5만 원 더 늘어나 15만 원이 된다. 참고로 2022년 9월 기준 약 253만 명의 아동이 혜택을 받고 있으며 이번 개정으로 인해 추가 수혜자는 94만 명 정도 예상된다.

 

 

2) 새롭게 영아에 관련된 수당도 나왔다!?

 

다음으로 새롭게 등장한 영아수당 제도 역시 눈여겨볼만 합니다. 0~1세 영아가 있는 가정에 매월 30만 원씩 지급되며 2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단, 소득 상위 20% 가구는 제외되는데 전체 수급가구의 평균소득(877만 원) 대비 200% 이상인 3인 가구라면 받을 수 없고,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휴직 시에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울러 어린이집 이용 시간 제한 완화로 보육 부담을 덜어줄 예정입니다. 지금까지는 하루 최대 12시간까지만 맡길 수 있었지만 이제는 필요하다면 오후 4시까지도 연장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부 동시 육아휴직 허용 범위가 넓어진다고 합니다. 현행법상 동일한 자녀에 대해 엄마 아빠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이번 개정안에는 부부모두 각각 1년씩 쓸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니 참고하시면 될꺼같습니다.

 

3) 부모 급여 + 육아 휴직 급여 + 언제까지 신청, 급여 지금은!? (QnA 자료)

 

 

부모 급여 + 육아 휴직 급여 + 언제까지 신청, 급여 지금은!?부모 급여 + 육아 휴직 급여 + 언제까지 신청, 급여 지금은!?
부모 급여 + 육아 휴직 급여 + 언제까지 신청, 급여 지금은!?

 

 

부모 급여 + 육아 휴직 급여 + 언제까지 신청, 급여 지금은!?
부모 급여 + 육아 휴직 급여 + 언제까지 신청, 급여 지금은!?부모 급여 + 육아 휴직 급여 + 언제까지 신청, 급여 지금은!?

 


*부모급여 (대상 영유아 0~23개월)

 

(2023년엔 0~11개월 70만원 / 12~23개월 35만원)
(2024년엔 - 100만원 / 50만원)

기간은 자녀 나이 만 23개월까지라고함


* 양육수당 (대상 만 24개월 ~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지원 가정보육할 경우엔 매월 20만원

참고 보육원에 다닐경우 보육료로 전환


*아동수당 (대상 0개월 ~ 만 8세 미만)

지원 매월 10만원

참고 초등학교 1학년 생일 전까지 모든 아동 대상



3) (번외_) 이외에도 다양한 제도

 

이외에도 임신부 건강보험 보장 강화,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돌봄 서비스 확대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이 마련되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길 바랍니다.

 

 

 



<자료출처 '정책브리핑' >